dent.co.kr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 용어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 dent6 | dent.co.kr report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 용어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 dent6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dent6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 용어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22 08:26

본문




Download :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 용어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hwp





권문세족은 고려 원 간섭기에 정방의 인사권을 장악하고 거대한 농장을 소유하였던 고려후기 지배계층이다. 이러한 친원세력에 대항하여 국왕의 측근세력이 형성되는 하였으나 국왕 자체가 원…(省略)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레포트 ,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 용어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인문사회레포트 ,

report
다. 고려시대 연구 속에서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가 순서로 지배세력으로 등장하게 되는 것에 대한 일반론을 먼저 알아보겠다. 가령 조인규와 같이 몽고어의 통역으로 성장한 세력가도 있었으며 원에 매(鷹)를 바치기 위하여 설치된 응방을 통해 출세한 윤수와 같은 무리도 있었다. 또한 원 황실과 혼인하여 그 일문이 세도를 누린 기철등과 같은 경우도 있었다.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 용어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Download :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 용어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hwp( 48 )


^^


설명
권문세족과%20신진사대부-%20용어에%20관한%20연구를%20중심으로-_hwp_01.gif 권문세족과%20신진사대부-%20용어에%20관한%20연구를%20중심으로-_hwp_02.gif 권문세족과%20신진사대부-%20용어에%20관한%20연구를%20중심으로-_hwp_03.gif 권문세족과%20신진사대부-%20용어에%20관한%20연구를%20중심으로-_hwp_04.gif 권문세족과%20신진사대부-%20용어에%20관한%20연구를%20중심으로-_hwp_05.gif 권문세족과%20신진사대부-%20용어에%20관한%20연구를%20중심으로-_hwp_06.gif



순서
1. 서론

2. 고려 후기 지배세력에 대한 기존 연구

3. `권문세족` 용어에 대한 검토
3-1. ‘권문세족’ 용어의 기존 연구
3-2. 최근의 연구 동향

4. ‘신진사대부’ 용어에 대한 검토
4-1. ‘신진사대부’에 대한 기존 연구
4-2. 최근 연구 동향

5. 結論



2. 고려 후기 지배세력에 대한 기존 연구
고려 후기의 지배세력을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의 대립국면으로 설정하고 권문세족의 친원적 태도나 불법적으로 농장과 노비를 증대시키며 정치 질서를 문란케 한 사실을 비판하면서 새로 등장한 사회세력이 신진사대부였다는 인식은 최근 20년간 일반화 된 것이었다. 개경에 환도한 고려 政府와 몽고 연합군에 의해 대몽항쟁을 펼치던 삼별초군이 패멸하게 되고 개경의 고려 政府와 원의 침략세력은 더욱 밀착되게 된다된다. 권문세족이 지배세력으로 등장하는 배경으로 일반적으로 지적되는 것은 고려에 대한 원 세력의 effect(영향) 력 증대이다. 일반적으로 권문세족을 원 세력을 등에 업은 새로운 사회 세력으로 설명(explanation)하기 때문이다
고종 45년 (1258) 최씨의 마지막 집권자 최의가 문신 유경과 무신 김준에 의해 살해되고 정권이 국왕에게 돌아가자 몽고에 대한 강화가 결정되었다. 이러한 고려에 대한 원의 effect(영향) 력의 증대에 따라 그 세력을 등에 업은 사회세력이 성장하게 되었다. 그 결과 46년(1259)년 태자 전(倎: 뒤의 원종)이 몽고로 가서 강화의 듯을 표시하였고 항쟁의 단념의 표현으로 강화의 성곽을 헐어버렸다. 그 후 원종 11년 몽고에 대한 군대 요청으로 남은 무신세력에 대한 토벌이 이루어지고 그해 원종과 재추중신들은 개경환도를 단행하였다. 그러한 유대관계는 각 군현의 민심으로부터 유리되면 될 수록 더욱 강력하게 되었다.
전체 18,310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dent.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