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강의 property(특성) 및 용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07 21:54본문
Download : 탄소강의 특성 및 용도.hwp
탄소강의정의와이해 , 탄소강의 특성 및 용도기타레포트 ,
탄소강의 정이와 property(특성) 및 불순물 원소와 강의 기계적 성질, 여러 탄소강의 용도와 탄소강의 소성가공에 상대하여 깔끔하게 정리(arrangement)했습니다.레포트/기타






순서
,기타,레포트
탄소강의 정의와 특성 및 불순물 원소와 강의 기계적 성질, 여러 탄소강의 용도와 탄소강의 소성가공에 대해서 깔끔하게 정리했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늘 행복하시기 바라겠습니다. 과공석강에서는 시멘타이트가 망상으로 나타나므로 탄소량이 증가함에 따라 인장강도는 오히려 감소한다.
탄소강의정이와이해
설명
Download : 탄소강의 특성 및 용도.hwp( 29 )
1. 철과 강
1. 철강의 분류
2. 순철
2. 탄소강
1. 철-탄소 평행 상태도
2. 탄소강의 표준 조직
3. 탄소강의 성질
1) 물리적 성질과 화학적 성질
2) 기계적 성질
3) 온도에 따른 기계적 성질
4. 불순물 원소와 강의 기계적 성질
1) 탄소(C)
2) 망간(Mn)
3) 황(S)
4) 인(P)
5) 규소(Si)
6) 구리(Cu)
7) O2, H2, N2
5. 각종 탄소강과 그 용도
6. 탄소강의 소성가공
1) 예비압연(Primary Rolling)
2) 열간가공
3) 산세(Pickling)
4) 냉간가공
탄소강의 성질은 기본적으로 탄소조성에 의해서 결정되지만 탄소량이 일정해도 가공상태나 열처리조건에 따라서 그 성질은 현저하게 變化된다 본 절에서는 표준상태의 탄소강의 성질에 관해서만 기술하고, 가공이나 열처리에 의한 성질變化는 다음 장에서 기술하기로 한다. 또한 내식성은 탄소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고 소량의 Cu가 첨가되면 내식성은 급증한다.
우선 표준조직이라고 하는 것은 탄소강을 A3 및 Acm 온도 이상 30~50℃로 가열하여 균일한 오스테나이트로 만든 후 상온으로 공랭시켰을 때에 형성되는 조직으로서, 아공석강에서는 페라이트와 펄라이트, 공석강에서는 펄라이트, 그리고 과공석강에서는 시멘타이트와 펄라이트로 구성되는 조직이다.
관련분야의 report를 쓰고자 하는 분들에게 아무쪼록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늘 행복하시기 바라겠습니다.
2) 기계적 성질
탄소강의 탄성계수(Young`s modulus) E는 20000~22000kg/mm2, 강성율(shear modulus) G는 7700~8450kg/mm2, Poisson 비 ν는 0.28로서 이들 상수들은 탄소량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하다. 그러나 경도는 계속해서 증가된다
한편 이와 같이 탄소량에 따라 기계적 성질이 變化되는 것은 표 1에 나타낸 페라이트, 시멘타이트 및 펄라이트의 기계적 성질과 관련되어 있다 즉, 페라이트는 극히 연성이 크고, 인…(생략(省略))
탄소강의 property(특성) 및 용도
다. 그러나 그림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른 기계적 성질들은 탄소량에 따라서 직선적으로 變化되는데, 아공석강에서의 인장강도, 경도 및 항복점 등은 탄소량에 따라 증가되고, 연신율 및 단면감소율은 탄소량에 따라 감소한다.
1) 물리적 성질과 화학적 성질
강은 순철에 가까운 ferrite와 cementite(Fe3C)로 이루어진 혼합조직을 갖고 있고, 이 조직의 혼합비율은 탄소량에 의해서 결정된다 그렇기 때문에 탄소강의 물리적 성질은 탄소량에 따라 직선적으로 變化하며 비중, 열팽창계수, 열전도율은 탄소량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나 비열, 전기 저항, 항자력은 증가한다.관련분야의 레포트를 쓰고자 하는 분들에게 아무쪼록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