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EM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23 10:08본문
Download : ASEM.hwp
3. ASEM 회원국
회원국
아시아측 (10)
유럽측(15+1)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베트남,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Japan, 중국(China), 필리핀, 태국, 한국
그리스, 네덜란드, 덴마크, 독일, 룩셈부르크, 벨기에, 스웨덴, 스페인, 아일랜드, 영국,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포르투갈, 프랑스,
핀란드 및 EU 집행위
4.ASEM의 구조
아시아·유럽 정상회의는 아시아와 유럽의 정치, 경…(To be continued )
부족하지만 최선을 다해 작성하고자 노력하였으니 만족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이에 비해 아시아와 유럽지역의 관계는 상대적으로 연계성이 미약하여 북미.유럽, 아시아.북미간의 관계에 비해 뒤지는 실정이었다. 이에 따라 1994년 10월 싱가포르는 양 지역 국가 정상들이 한자리에 모여 대화를 나눌 ASEM 창설을 제의하였고, 이에 한.중.일.아세안과 구주연합(EU)측이 동의하여 제1차 ASEM이 1996년 3월 태국에서 개최됨으로써 본격적으로 출범하게 되었다.
ASEM






,경영경제,레포트
그럼 를 받으시는 모든 분들께 언제나 행복이 가득하시길 바랍니다^^
2. ASEM 탄생의 배경
1990년대에 들어서 냉전종식에 따라 정치적으로는 미·소를 축으로 하는 양극체제가 무너지고, 경제·사회적으로는 세계화 추세가 대두되면서 아시아, 북미, 유럽등 3개지역을 축으로 한 새로운 국제 질서가 형성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세 지역간에 상호 대화의 채널을 확립하고 또한 균형적인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세계경제의 안정적 성장뿐만 아니라 세계평화와 안전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한 assignment로 부상하게 되었다. 북미는 범대서양자유무역지대(TAFTA)의 구상을 비롯하여 정치.안보.경제. 文化(culture) 등 모든 분야에서 전통적으로 유럽과 긴밀한 관계를 구축하여 왔고, 아시아와 북미관계도 1989년 발족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를 중심으로 역내협력이 꾸준히 발전되어 왔다. 1990년대 들어 유럽의 주요국가들은 경제적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한국·홍콩·싱가포르등 아시아의 신흥 경제국들과의 관계강화에 관심을 보이기 처음 하고, 아시아국가들도 유럽과의 관계강화 당위성을 인식하여, 양 지역간 상호관계 강화를 위한 공동인식이 형성되었다.
Download : ASEM.hwp( 79 )
부족하지만 최선을 다해 작성하고자 노력하였으니 만족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그럼 자료를 받으시는 모든 분들께 언제나 행복이 가득하시길 바랍니다^^[경제통합]ASEM , ASEM경영경제레포트 ,
순서
레포트/경영경제
[경제통합]ASEM
설명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