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nt.co.kr 만횡청류에 대하여 - 검토 내용적 특징 구성체제 역사 연원적 위치 > dent5 | dent.co.kr report

만횡청류에 대하여 - 검토 내용적 특징 구성체제 역사 연원적 위치 > dent5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dent5

만횡청류에 대하여 - 검토 내용적 특징 구성체제 역사 연원적 위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21 17:30

본문




Download : 만횡청류에 대하여 - 검토 내용적 특.hwp




현전하는 가집 중 그 연대가 가장 오래된 것은 『珍本 靑丘永言』이다.
순서


‘蔓橫淸流’라는 이름은 비단 『珍本 靑丘永言』에만 나오는 것이 아니다. 그런데 이 가집 속에는 보통의 시조작품들과 성격을 달리하는 것으로 보이는 작품군이 있어 논란의 대상이 되어 왔다. 후대 가집인 『一石本 靑丘永言』, 『雅樂部本 歌曲源流』, 『奎藏閣本 歌曲源流』 등에는 ‘蔓橫’이라는 이름으로 존재하고 있고, 『槿花樂府』에는 ‘蔓橫淸’, 『古今歌曲』에는 ‘蔓橫淸流’라는 이름으로 나타나고 있다아 그렇지만 이런 이름을 가진 작품들이 모두 동일한 기원과 성격을 가진 작품인가에 관련되어는 명확한 답을 할 수가 없다. 이러한 蔓橫淸流 작품들에 대한 연구는 『珍本 靑丘永言』 자체의 연구와 더불어 스타트되었다고 볼 수 있다아 같은 가집 속의 시조 작품들을 고찰하는 가운데 蔓橫淸流를 사설시조 김흥규(「사설시조의 시적 시선 유형과 그 변모」, 국어국문학회 편, 『고시조 연구』, 1997.), 고미숙(「사설시조 율격의 미적 특질(1)」, 국어국문학회 편, 『고시조 연구』, 1997.)과 김학성의 경우에 사설시조의 하나로 蔓橫淸流를 보고 있는데, 이러한 논리전개는 김학성의 저서(『한국고시가의 거시적 탐구』, 집문당, 1997.)

만횡청류에 대하여 - 검토 내용적 특징 구성체제 역사 연원적 위치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는 蔓橫淸流의 蔓橫을 곡조명으로 보며, 느리고 흥청거리는 가락으로 보고 있다아 이에 노랫말이 평시조보다 길어지고, 형식상 일탈이 이루어졌다고 보았다. 그것이 바로 ‘蔓橫淸流’로 곡조별, 작가․연대순 분류를 통해 정연한 질서를 갖춘 것으로 보이는 『珍本 靑丘永言』속에서 곡조나 작자별 분류와 일치하지 않는 작품군이다.
만횡청류에 대하여 - 검토 내용적 특징 구성체제 역사 연원적 위치

만횡청류에 대하여 - 검토 내용적 특징 구성체제 역사 연원적 위치 만횡청류에 대하여 - 검토 내용적 특징 구성체제 역사 연원적 위치
.
다. 이러한 형식상 특징

.
기존의 연구에서 蔓橫淸流를 사설시조의 대표격으로 보고 그 특징을 살펴보려 노력했거나 蔓橫淸流 자체에 대해 언급이 전혀 없이 이 작품들을 사설시조로 함께 묶어 취급했으나, 여기서는 蔓橫淸流가 갖는 독자성에 초점을 두고 살펴보고자 한다. 김복영, 「蔓橫淸流 연구」,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2001, 1면.


정재호 정재호, 「蔓橫淸流의 의미와 형식」, 『국어국문학』111호, 1994.
중 일부라는 개념(槪念)으로 파악하고, 蔓橫淸流는 시조와 동일한 갈래이나 변격으로 본 것이 대부분이었다. 먼저 2장에서는 기존연구를 검토해 보고자 한다.만횡청류에 대하여 - 검토 내용적 특징 구성체제 역사 연원적 위치
2. 기존연구 검토

설명




Download : 만횡청류에 대하여 - 검토 내용적 특.hwp( 69 )




이능우 이능우, 『고시조론고』, 선명출판사, 1966.



『珍本 靑丘永言』(1728)의 <蔓橫淸流> 序에 가곡이란 명칭을 쓰면서 蔓橫淸流(사설시조)를 싣게 된 이유를 說明(설명) 하고 있고......-하략-...

가 蔓橫淸流에 소속되는 사설시조를 ‘辭說時調’보다 ‘蔓橫淸’이라 부르는 것이 좋겠다고 제안한 이후로 아직 蔓橫淸流에 대한 의미도 명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다. 장사훈 장사훈, 『국악론고』, 서울대출판부, 1996.


은 蔓橫淸流 명칭 자체에 대해, 蔓橫淸流는 ‘빗(橫)청’ 또는 ‘엇청’에 속하는 종류로, 빗나간 것, 엇조의 시조를 일괄하여 蔓橫淸流라고 한 것이라고 하면서 음악적 측면에서 접근을 시도하기도 하였다. 최근에 와서는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蔓橫淸流의 특징을 고찰하는 연구들이 나오고 있는데, 이는 지금까지 시조 연구 속에서 함께 간단히 언급되던 蔓橫淸流를 독립된 연구 대상으로 삼아 상세하게 고찰하고 있다는 의미가 있다아 그렇지만 이들 역시 기존 연구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蔓橫淸流가 시조와 동일한 갈래인 사설시조의 일부이며 사설시조의 대표성을 띠고 있다고 보고 있다아
만횡청류에 대하여 - 검토 내용적 특-4320_01_.jpg 만횡청류에 대하여 - 검토 내용적 특-4320_02_.jpg 만횡청류에 대하여 - 검토 내용적 특-4320_03_.jpg 만횡청류에 대하여 - 검토 내용적 특-4320_04_.jpg 만횡청류에 대하여 - 검토 내용적 특-4320_05_.jpg
만횡청류에 대하여 - 검토 내용적 특징 구성체제 歷史(역사) 연원적 위치


만횡청류에 대하여 - 검토 내용적 특징 구성체제 역사 연원적 위치
.
조선후기에 김천택, 김수장 등의 가객들에 의해 가집 편찬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그 후 3장에서 蔓橫淸流의 내용적 특징을 살펴보고 4장의 『珍本 靑丘永言』의 구성체제와 5장의 蔓橫淸流의 歷史(역사)․연원적 위치를 알아봄으로써 蔓橫淸流가 갖는 독자성을 밝혀보고자 한다.
전체 18,343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dent.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