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nt.co.kr 목민심서에서 목민관의 역할이란? > dent4 | dent.co.kr report

목민심서에서 목민관의 역할이란? > dent4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dent4

목민심서에서 목민관의 역할이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24 15:31

본문




Download : 목민심서[2].hwp






목민심서에서 목민관의 역할이란?


순서



1. 시대적 상황과 개요

2. 내용

3. 인식


봉공육조와 애민육조는 목민관으로 부임하여 실제로 목민관이 백성을 다스리는 구체적인 일에 대한 것이다. 봉공육조는 공저인 일을 수행하는 규정으로 나라에서 제정한 법을 지키고 예절을 준수하고 제사를 지낼 때 목민관이 가져야 할 태도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다 그리고 공부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문서의 수납과 공납의 폐해를 없애고 요역을 균등하게 배분하여 백성들이 편하게 살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그리고 애민육조는 백성을 대하는 목민관의 자세에 대하여 논하고 있다 노인을 봉양하고, 어린이들을 보살피고 상례와 질별 그리고 가뭄이나 홍수에 대비하여 목민관이 취해야 할 태도에 대하여 논하고 있다

뒤이어 이, 호, 예, 병, 형, 공전육조라는 조항에서 정약용은 각 해당 부서에서 해야 할 일들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다 이전에서는 아전을 다스리고, 사람을 쓰는 데에 있어서 어진 사람을 등용하는 데 인색해서는 안된다고 하는 목민관의 자세를 노하고 있다 목민관이 수신이 되어 있지 않으며 아전을 다스릴 수 없으므로 율기육조에 나오는 수신의 측면을 다시 한 번 강조한다. 그는 호를 다산 또는 여유당이라고 하였다.

그것은 아마 이 책이 저술된 시기와 현재의 시간적 격차에도 불구하고 목민관으로 갖추어야 할 덕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목민심서’는 정약용이 전라도 강진에 귀양을 가 있는 동안 저술 된 것으로 모둔 12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의 전반부에는 목민관으로 부임하는 절차와 목민관의 개인적 수양 그리고 공사의 업무 수행이 서술되어 있다 목민관으로 부임하는 절차를 설명(explanation)한 ‘부임육조’에는 목민관의 벼슬을 받아 부임지로 갈 때 지녀야 할 자세를 설명(explanation)하고 있다 부임할 때의 행장은 사치스러워서는 안되며 백성에 관한 여론 수집 또한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2. 내용

목민관의 개인적 수양과 관련하여 ‘율기육조’에서는 수신을 최고의 원리로 삼고 있다 목민관은 자신의 수양이 되지 않고는 백성을 다스릴 수 없으므로 ‘대학’의 구절인 “자기 몸을 닦은 뒤에 집안을 다스릴 수 있고 집안을 다스린 뒤에 나라를 다스릴 수 있으니 이것은 천하에 통하는 이치다.


목민심서
정약용 지음






정약용은 ‘목민심서’에서 지방관리들이 백성을 다스리는 올바른 도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explanation)하고 있다 이 책은 고금의 여러책에서 지방장관의 사적을 가려 뽑아 치민에 대한 도리를 논술한 동시에 지방관리들의 폐해를 제거하고 지방행정을 쇄신하고자 지은 책임에도 불구하고 오늘날에도 즐겨 읽고나서 있는 책인것 같다. , 목민심서에서 목민관의 역할이란?인문사회레포트 , 목민심서 정약용 황정 목민관 한국사 철학 리더 레포트 독후감

목민관은 주오 어떤 직책이였으며 목민관이 되기 위해서는 어떠한 수양의 과정을 거쳐야 하며 현대의 목민관이 갖춰야 할 덕목을 생각해보았고 정약용은 목민관의 역할중 황정 능력을 왜 중요하게 여겼는지 작성하였습니다.

1. 시대적 상황과 개요

정약용은 영조 38년 즉 1762년에 경기도 광주군 마현리에서 진주목사를 지낸 정재원이 4남으로 태어났다.”라고 하여 스스로의 심성 도야를 통하여 바른 마음을 지니…(투비컨티뉴드 )


목민심서[2]_hwp_01.gif 목민심서[2]_hwp_02.gif 목민심서[2]_hwp_03.gif

목민심서,정약용,황정,목민관,한국사,철학,리더,레포트,독후감,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다.

Download : 목민심서[2].hwp( 51 )



목민관은 주오 어떤 직책이였으며 목민관이 되기 위해서는 어떠한 수양의 과정을 거쳐야 하며 현대의 목민관이 갖춰야 할 덕목을 생각해보았고 정약용은 목민관의 역할중 황정 능력을 왜 중요하게 여겼는지 작성하였습니다. 그러나 정조가 죽은후 정약용이 속했던 남인 세력을 몰아내려는 소론들이 일으킨 ‘신유박해’로 그는 형인 정약종 등과 함께 투옥되었다가 유배를 다하게 된다된다. 그는 1783년 진사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에 들어갔으며 거기서 정조의 총애를 받아 벼슬길에 올라 경기도 암행어사, 동부승지, 병조참위를 지냈다. 호전에서는 농사에 대한 전반적 고찰을 통하여 세금을 거두어 들이고, 호적을 관리하며, 농사를 권장하는 것을 논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예전에서는 제사는 기타 예에 관한 것을, 병전에서는 국방을 지키는 임무에 대하여, 형전에서는 송사나 그밖의 법률 적용에서의 공평무사를, 공전에서는 성을 쌓고 산림을 관리하는 일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다 이 육전의 임무는 조선시대에 아전들의 폐해가 심했기 때문에 아전들의 올바른 관리가 목민관의 주요 임무로 부과되었다.
전체 18,120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dent.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