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nt.co.kr 맹자철학 > dent4 | dent.co.kr report

맹자철학 > dent4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dent4

맹자철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18 02:33

본문




Download : 맹자철학.hwp




” 와 “군자의 본성이란 것은 인의예지(仁義禮智)가 마음에 뿌리를 두고 있는 것이다”에서와 같이 볼 수 있듯이, 맹자는 이런 심성(心性)에 의거하여 ‘예’를 설명(說明)하곤 한다. 조원일, 맹자의 철학사상, 전남대학교출판부, 2012년 270쪽 인용


맹자가 인간의 본성에 대하여 논의할 때 언급하는 “인의예지(仁義禮智)는 외부로부터 나에게 녹아져 스며들어온 것이 아니고, 내게 본래부터 갖춰져 있는 것이다. 또한 누구에게나 보편적으로 내재하는 것으로 여겨진 이 인의예지의 도덕 의식을 그들이 살고 있는 구체적인 현실에서 실현시키기 위해 온갖 노력을 다 하였다. 맹자는 본래 선한 본심을 자극하게 하여, 이를 선천적으로 갖추어져 있는 선한 본성에게까지 확대시켜 나가야한다고 생각했다. 위와 같은 책, 271쪽 인용
맹자철학


맹자철학

맹자철학
맹자는 모든 인간에게 본래 선한 사단지심(四端之心)이 갖추어져 있다고 극력 찬명하였으며, 인의예지(仁義禮智)로서 본성을 설명(說明)한다. 이철승, 「선진 유가에 나타난 어울림 사상의 논리 구조와 현실적 의미 」『동양철학연구』제46집, 동양철학연구회, 2006, 94쪽 인용
순서

Download : 맹자철학.hwp( 19 )






맹자철학
맹자철학

맹자철학


다. 이러한 것은 맹자가 ‘예’를 인간의 본심에 원래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했다는 사실을 방증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따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설명
맹자철학
맹자는 도덕의 근거를 하늘의 법칙을 본받아 형성된 인의예지(仁義禮智)를 여기고, 이 인의예지가 실현되는 사회를 이상적인 사회로 생각하였다.맹자철학 맹자철학 맹자철학 맹자철학 맹자철학
.


맹자철학

맹자철학-4528_01_.jpg 맹자철학-4528_02_.jpg 맹자철학-4528_03_.jpg 맹자철학-4528_04_.jpg 맹자철학-4528_05_.jpg



.



또한 맹자가 언급한 ‘인의’의 덕성은 본심 가운데 내재되어 있는 것
공자의 사상체계 속에서 ‘인’과 ‘예’는 내재적인 것과 외재적인 것이라고 하는 표리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따 그러나 맹자는 ‘인’과 ‘예’는 본래부터 본심과 본성 속에 갖춰져 있는 것이라고 주장을 한다. 그리고 이 인의예지의 도덕 의식과 대치되는 것을 사사로운 이기심으로 지목하며, 사사로운 이기심을 극복하여 도덕 의식을 회복해야 할 것으로 생각 하였다. 즉 인간의 선한 본심으로 본성이 선하다고 하는 theory(이론)을 정립한다. 맹자는 주체적으로 공경하는 마음과 사양하는 마음으로 ‘예’를 해석하여 ‘예’를 인간에게 내제되어 있는 심성속에 안치하려고 했다. 이러한 이유 문에 모든 인간은 요(堯)임금이나 순(舜)임금처럼 성인이 될 수 있는 것이며, 본성은 선한 것이 되는 것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그래서 본성이 이로 말미암아 선한 것이 된다는 것이다. 즉 맹자는 공자와 달리 ‘예’의 내재적 의미를 중시하였으며, 비록 ‘예’가 외재적으로 드러나기는 하지만 그것의 근원은 바로 인간에게 내재되어 있는 선한 본심과 본성이라는 것이다.
전체 18,120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dent.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