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nt.co.kr [법학] 행수법과시법 > dent3 | dent.co.kr report

[법학] 행수법과시법 > dent3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dent3

[법학] 행수법과시법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1-16 13:43

본문




Download : [법학] 행수법과시법.hwp




그런데 「行守法」이라는 것이 있어서 品階가 높으면서 관직이 낮은 경우(階高職卑)에는 「行」이라 하고, 반대로 品階는 낮은데 관직이 높을 경우(階卑職高)에는 「守」라 하여, 소속 관청의 명칭 앞에 「行」또는 「守」자를 붙이게 되어 있었다. 이를테면, 종 一품인 崇祿大夫의 品階를 가진 사람이 정二품직인 吏曹判書…(drop)
순서

레포트/법학행정


다.

Download : [법학] 행수법과시법.hwp( 60 )




[법학]%20행수법과시법_hwp_01.gif [법학]%20행수법과시법_hwp_02.gif
[법학] 행수법과시법





[법학] 행수법과시법 , [법학] 행수법과시법법학행정레포트 , 법학 행수법과시법
법학,행수법과시법,법학행정,레포트




[법학] 행수법과시법

설명

階․司․職과 行守法

관직의 정식 명칭은 「階․司․職」의 순서로 되어 있는데, 이를테면 領議政일 경우 「大匡輔國崇祿大夫(階)議政府(司)領議政(職)」이 된다 階는 곧 品階요, 司는 소속 관청이며 職은 직위를 가리킨다.
전체 18,296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dent.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