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디푸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14 06:41본문
Download : 외디푸스.hwp
그래서 상징계로 진입하지 못해 주체성이나 사회적 위치를 갖지 못한다.
아이는 어머니의 욕망(desire of the mother){{ ) 어머니의 욕망은 두 가지로 해석된다 `의(of)`를 목적격으로 보면 아이가 어머니에게로 향하는 욕망 즉 어머니의 남근이 되고자 하는 것이며, 주격으로 보면 어머니가 아이에게로 향하는 욕망 즉 어머니의 결핍을 채워주기를 바라는 욕망이 된다 }} - 남근 - 과 자신을 일치시킨다.외디푸스
설명
남근이 욕망의 대상이 되었다는 것은 어떤 이미지나 환상이 아니라 욕망을 불러일으키는 기표(signifier)가 되었다는 것이다. 남근은 기표의 연쇄고리 속에서, 기표와 기표 사이에서 욕망으로 그 모습을 드러낸다.{{고대 그리스에서도 남근은 바로 표시나 표지(標識)로 여겨졌다. }} 남근이라는 기표는 기표 중의 기표이며 전체적으로는 기의의 효능를 지시하도록 의도되며 의미화 전 과정(whole process of signification)이라고 라깡은 말한다.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다.
아이가 어머니의 남근이 될 때 이를 간섭하는 아버지의 출현으로 외디푸스 현상의 2단계가 스타트된다 아버지는 아이에게 `Thou shalt not sleep with thy mother`, 어머니에게는 `thou shalt not reappropriate thy…(생략(省略))
,인문사회,레포트
외디푸스
외디푸스에 대한 글입니다.외디푸스 , 외디푸스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외디푸스.hwp( 97 )



외디푸스에 대한 글입니다. 어머니를 기쁘게 하고, 어머니의 사랑을 유지하기 위해서 아이는 남근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렇게 어머니의 욕망의 자리에 자신을 놓음으로서 자신은 어머니가 바라는 남근의 환유(metanymy)가 된다
환유에서 한 기표가 다른 기표로 끝없이 미끄러져 가듯이 어머니의 욕망의 환유가 된 아이는 하나의 주체가 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다른 것 즉 어머니의 연장 즉 욕망의 대상으로 용해되어 들어가기에 자신은 공백, 결핍, 무(blank, lack, nother)가 된다 아이는 언어를 사용하기 이전이기 때문에 자아에 대한 상징적 대용물을 갖지 못한다.
의미화의 전 과정이란 다름 아닌 끝없이 계속되는 욕망의 기표의 연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