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 안전 사고 事例(사례) 조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4-15 22:09본문
Download : 식품 안전 사고 사례 조사.hwp
반면 식품업체들은 ?라면 제조에 사용한 우지는 국내에서 정제돼 보사부(옛 보건복지부)의 기준 규정에 합격했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한 것은 물론 사법 처리의 대상도 되지 않는다?고 맞섰다. 검찰이 밝힌 업체들의 혐의 내용은 비누나 윤활유를 만드는 데 사용해야 할 공업용 우지로 라면을 만들었다는 것이다. 사회적으로 라면의 주식화가 급속히 진행 중이었던 라면의 대중적 인기만큼이나 사회적 충격과 파문은 대단했다. 다른 4개 업체들도 2천억원 이상의 피해를 봤다. 이 사건을 1심 재판부는 업체들에게 유죄를 선고했으나, 2심에서는 무죄 판결이 내려졌다. 업체들은 ?식용과 비식용의 구분은 미국이 가격등급을 정하기 위해 설정한 기준일 뿐이며 비식용 우지도 정제 과정을 거치면 식용으로 쓸 수 있다?고 반박했다. 검찰의 상고로 사건을 맡게 된 대법원 형사1부(당시 정귀호 대법관)는 1997년 ?우리 사회의 식생활 관행으로 볼 때 당시 식품업체들이 사용한 우지가 식품원료의 일반 기준인 ?사회 통념상 식용으로 하지 않거나 상용식품으로서 안정성이 입증되지 않은 것?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다?며 무죄를 확정했다. 검찰은 국립과학수사연구소와 일부 식품전문가들로부터 라면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던 우지가 인체에 유해하다는 연구 결과를 받아냈다고 강조했다.
식품의 안전 사고 事例(사례)의 유형을 조사하였고 식품 사고시 다른 나라의 대책을 같이 제시함으로써 식품 사고 예방활동의 necessity 에 대해 제시하였다. …(省略)
레포트/생활전문
식품,안전,사고,사례,조사,생활전문,레포트
설명
식품 안전 사고 事例(사례) 조사
Download : 식품 안전 사고 사례 조사.hwp( 81 )






식품안전사고
다. 당시 시장점(長點)유율 60%로 라면업계 1위이던 삼양식품은 이 사건 직후 1천여 명의 종업원들이 회사를 떠나고, 100억원대 이상의 라면 제품을 회수하는 등 타격을 입어 시장점(長點)유율이 한 자릿수까지 곤두박질쳤다.
순서
식품의 안전 사고 사례의 유형을 조사하였고 식품 사고시 다른 나라의 대책을 같이 제시함으로써 식품 사고 예방활동의 필요성에 대해 제시하였다. 소비자단체들은 대대적인 불매운동을 벌였고, 라면 생산은 중단되다시피 했다. 재판에서 검찰은 비식용 우지를 라면 제조에 사용하는 것은 명백히 실정법을 위반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관련 업체인 부산유지화학공업은 결국 도산했다.식품안전사고 , 식품 안전 사고 사례 조사생활전문레포트 , 식품 안전 사고 사례 조사
1) 라면 波動
우지라면 사건은 지난 1989년 검찰이 라면 원료로 수입 우지를 사용한 삼양식품 등 5개 식품회사 대표와 직원들을 보건범죄단속에 관한 특별조치법 위반 등의 혐의로 전격 구속하면서 처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