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모던시대의 근대 전환기 인식과 근 현대사교과서의 역사서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05 22:48
본문
Download : 포스트모던시대의 근대 전환기 인식과 근 현대사교과서의 역사서술.hwp
따라서 근대로의 전환을 둘러싼 논의를 살펴볼 필요가 있따 高東煥, 1997 「近代化論爭」『한국사 市民강좌』 20 에서는 근대로의 이행 논쟁으로 1) 근대의 기점 논쟁 2) 근대변혁주체 논쟁 3) 광무개혁 논쟁 4) 조선사회 특질론에 입각한 근대이행론 5) 역사(歷史)발전단계론의 재구성을 통한 근대이행론 등을 들고 관련 논의들을 introduce하고 있어 참고가 된다
첫 번째가 내재적 발전론-식민지수탈론이다. 내재적 발전론은 1960년 4·19혁명 이후 민족주의사학의 재건이 제창되고 문헌고증사학과 식민사학에 대한 비판이 본격화되면서 등장한 것이다. 주체적이고 내재적인 관점에서 한국역사(歷史)의 전개과정을 발전적으로 인식하려는 내재적 발전론은 서구의 근대화론과 맑스의 사적유물론이 결합한 것으로 일국사적 역사(歷史)발전의 의미를 제시함으로써 제국주의 침략에 의해 식민지가 된 나라의 역사(歷史)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극복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었다. 조선 후기 자본주의맹아론, 신분제의 변동과 붕괴, 근대로의 두 가지 길, 부르주아민족운동의 전개 등에 대한 연구가 내재적 발전론에 입각해 이루어졌다. 이영호, 2002 「내재적 발전론을…(省略)
근322
레포트/사범교육
근322 , 포스트모던시대의 근대 전환기 인식과 근 현대사교과서의 역사서술사범교육레포트 ,
,사범교육,레포트
Download : 포스트모던시대의 근대 전환기 인식과 근 현대사교과서의 역사서술.hwp( 21 )
설명
순서
다.






포스트모던시대의 근대 전환기 인식과 근 현대사교과서의 역사서술
근대로의 전환을 둘러싼 논의
개항기-한말 시기는 전근대사회에서 근대사회로 change(변화)하는 시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