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ort - 유가적 인간과 근대적 인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21 00:36
본문
Download : 레포트 - 유가적 인간과 근대적 인.hwp
비록 사회적 지위가 높거나 경제적 여유가 풍부한 인간이라도, 자신의 이익만을 위하는 삶을 추구한다면 이러한 인간은 모두 소인이다. 인(仁)으로 대표되는 그의 철학 사상은 효제충신(孝悌忠信)ㆍ박시제중(博施濟衆)ㆍ애인(愛人)ㆍ충서(忠恕)ㆍ정명(正名)ㆍ극기복례(克己復禮) 등을 비롯한 수많은 사상을 내부에 함유하며, 도덕적 인간에 관해 종합적으로 취급하고 있다
레포트 - 유가적 인간과 근대적 인간 레포트 - 유가적 인간과 근대적 인간 레포트 - 유가적 인간과 근대적 인간 레포트 - 유가적 인간과 근대적 인간
공자에 따르면, 군자란 자기 이익을 얻고자 분파를 형성하지 않고, 그가 속한 사회의 보편적 질서 의식을 중시하는 인간이다. 이러한 일은 덕과 재주가 평범한 인간보다 뛰어난 인간이라야 할 수 있다 이러한 인간을 군자라고 명명한다. 이철승,『철학, 문화를 읽다』,「군자에서 시민(市民)까지」, 한국철학사상연구회, 동녘출판사, 2009, p.16. 인용.
report - 유가적 인간과 근대적 인간
공자는 주나라 초기에 주공(周公)이 정립한 질서 체계[周禮]를 인간이 추구해야 할 바람직한 규범이라고 생각했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설명
.
선험적
report - 유가적 인간과 근대적 인간
공자에 따르면, 성인(聖人)은 이러한 도덕적 내용을 완벽하게 실현하는 인간이다. 군자란 잘못의 원인을 남에게 돌리지 않고 자기에게 돌리며, 동일한 잘못을 반복하지 않고, 성냄을 다른 인간에게 옮기지 않으며, 자기가 하고 싶지 않은 부당한 일을 남에게 시키지 않고, 자기가 이루고 싶은 의미 있는 일을 남이 먼저 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인간이다. 그러나 보통의 인간으로서 이러한 도덕성을 완벽하게 실현하기란 쉽지 않다. 개인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인간은 군자의 대척점에 있는 소인이다. 곧 군자의 이러한 역할은 삶의 외적 조건과 직접적으로 관계되어 있지 않다. 소인의 기준은 사회적인 지위의 높고 낮음이나 지식의 많고 적음에 있지 않다. 소인은 자기의 사사로운 이익 추구를 중요한 가치로 여긴다. 이 때문에 소인은 자신의 이익을 확보하려고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 이것은 내적 도덕성의 발현과 긴밀하게 관계되어 있다 Ibid., p.17. 인용.
레포트 - 유가적 인간과 근대적 인간
Download : 레포트 - 유가적 인간과 근대적 인.hwp( 24 )
레포트(report) - 유가적 인간과 근대적 인간
report - 유가적 인간과 근대적 인간
다. 공자의 견해에 따르면, 공공의 질서 의식이 약하고 개인의 이기심을 강하게 추구하는 인간은 모두 소인이다. 이러한 일은 비록 성인과 같이 완벽한 역량을 갖추지 못했을지라도, 평범한 인간이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소인은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라면 도덕적으로 비난받을 일조차도 서슴지 않는다. 곧 모든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이러한 도덕성을 실현할 가능성을 갖추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것은 이러한 성인의 모습을 닮으려고 노력하는 일이다.
report - 유가적 인간과 근대적 인간
.





report - 유가적 인간과 근대적 인간
.
순서
군자는 개인의 이익 추구를 중심 가치로 여기는 것이 아니라 공적 의로움의 실현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인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