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약학] 동물조직학 - 영구 조직표본 제작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1-14 18:26
본문
Download : [의학,약학] 동물조직학 - 영구 조직표본 제작법.hwp
이외의 고정액으로는 부완액, 알코올 등이 있다
2. 탈수(Dehydration)
침투과정에서 쓰이는 파라핀(paraffin)은 물과 융합되지 않기 때문에 조직에서 완전히 수분을 제거한 후가 아니면 침투시킬 수 없으므로 탈수 과정이 필요하다.
고정액으로는 주로 포르말린(37% 포름알데하이드의 등장완충액)을 사용한다.
a. 70% EtOH -1h
b. 80% EtOH -1h
c. 90% EtOH -1h
d. 95% EtOH -1h
e. 100% EtOH -1h
f. 100% EtOH -1h
g. 100% acetone -1h
h. 100% acetone -1h(overnight 가능)
3. 투명(Clearing)
용매가 조직에 침투하여 조직이 투명해 지는 과정이다. 조직을 주사위 모양의 정육면체로 가정할 때 한 변의 길이가 5㎜~1㎝를 넘지 않도록 잘라 고정액에 담근다.
![[의학,약학]%20동물조직학%20-%20영구%20조직표본%20제작법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20%EB%8F%99%EB%AC%BC%EC%A1%B0%EC%A7%81%ED%95%99%20-%20%EC%98%81%EA%B5%AC%20%EC%A1%B0%EC%A7%81%ED%91%9C%EB%B3%B8%20%EC%A0%9C%EC%9E%91%EB%B2%95_hwp_01.gif)
![[의학,약학]%20동물조직학%20-%20영구%20조직표본%20제작법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20%EB%8F%99%EB%AC%BC%EC%A1%B0%EC%A7%81%ED%95%99%20-%20%EC%98%81%EA%B5%AC%20%EC%A1%B0%EC%A7%81%ED%91%9C%EB%B3%B8%20%EC%A0%9C%EC%9E%91%EB%B2%95_hwp_02.gif)
![[의학,약학]%20동물조직학%20-%20영구%20조직표본%20제작법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20%EB%8F%99%EB%AC%BC%EC%A1%B0%EC%A7%81%ED%95%99%20-%20%EC%98%81%EA%B5%AC%20%EC%A1%B0%EC%A7%81%ED%91%9C%EB%B3%B8%20%EC%A0%9C%EC%9E%91%EB%B2%95_hwp_03.gif)
[의학,약학] 동물조직학 - 영구 조직표본 제작법
Download : [의학,약학] 동물조직학 - 영구 조직표본 제작법.hwp( 88 )
[의학,약학],동물조직학,-,영구,조직표본,제작법,의약보건,레포트
순서
동물조직학 - 영구 조직표본 제작법
1. 고정(Fixation)
고정이란 세포의 기초물인 단백질, 지질, 탄수화물 등으로 구성된 생체를 고정액에 넣어 그 조직의 구조를 생체와 거의 같게 고정시키는 과정이다.
5. 포매(Embedding…(skip)
[의학,약학] 동물조직학 - 영구 조직표본 제작법 , [의학,약학] 동물조직학 - 영구 조직표본 제작법의약보건레포트 , [의학 약학] 동물조직학 - 영구 조직표본 제작법
[의학,약학] 동물조직학 - 영구 조직표본 제작법
설명
레포트/의약보건
다. 포름알데하이드와 글루타르알데하이드는 조직단백질의 아민기와 反應하여 단백질 분자를 교차연결시켜 고정작용을 강화시킨다.
고정액으로는 주로 포르말린(37% 포름알데하이드의 등장완충액)을 사용한다. 조직을 주사위 모양의 정육면체로 가정할 때 한 변의 길이가 5㎜~1㎝를 넘지 않도록 잘라 고정액에 담근다. 이외의 고정액으로는 부완액, 알코올 등이 있다
2. 탈수(Dehydration)
침투과정에서 쓰이는 파라핀(paraffin)은 물과 융합되지 않기 때문에 조직에서 완전히 수분을 제거한 후가 아니면 침투시킬 수 없으므로 탈수 과정이 필요하다.
탈수과정은 70%에서 100%까지 순차적인 알코올 수용액 처리로 조직 내에 남아 있는 수분을 제거 하는 것이다. 열에 의해 용매는 증발하며, 빈 공간은 파라핀으로 매워진다. 탈수 후 알코올은 포매물질인 파라핀과 잘 융합되지 않으므로 자일렌(Xylene), 톨루엔(Toluene)과 같은 물질로 대치시켜준다. 포름알데하이드와 글루타르알데하이드는 조직단백질의 아민기와 反應하여 단백질 분자를 교차연결시켜 고정작용을 강화시킨다.
탈수과정은 70%에서 100%까지...
동물조직학 - 영구 조직표본 제작법
1. 고정(Fixation)
고정이란 세포의 기초물인 단백질, 지질, 탄수화물 등으로 구성된 생체를 고정액에 넣어 그 조직의 구조를 생체와 거의 같게 고정시키는 과정이다. 고정액은 단백질을 교차연결시키고 조직을 분해하는 효소를 불활성화시켜 세포구조를 보존해준다.
4. 침투(Infiltration)
투명과정이 끝난 후 용매 속에 있던 조직은 실온에서 수지에 넣거나 오븐(52~60℃) 속의 파라핀 용액에 넣는다. 고정액은 단백질을 교차연결시키고 조직을 분해하는 효소를 불활성화시켜 세포구조를 보존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