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解法(솔루션) ] 기계설계 3판(송지복, 배원병, 조용주, 황상문, 조윤호, 조진래, 박상후, 박성훈 공저, 교보문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5-02 20:01
본문
Download : [솔루션]_기계설계_3판(송지복,_배.zip
기계 공학 설계 연습문제 솔루션
상당 비틀림모멘트는 Te는
설명
챕터 4의 일정부분을 발췌해놓았습니다. 위 식에 지름 와 를 대입하면 중량비는
a) 정하중 설계
베어링으로부터 등간격()으로 개의 풀리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때 각 풀리의
다.
공부 할 때 정말 도움이 많이 됬던 자료(資料) 입니다. 공부 할 때 정말 도움이 많이 됬던 자료 입니다. 축의 자중에 의한 effect을 무시하고, 한 개의 풀리만 고려했을
(수식은 게시판 사정상 출력되지 않지만 해법에는 수식이 존재합니다.
최대전단응력 theory 을 적용하면
챕터 4장부터 10장까지 있습니다.
4.5 지름 의 축이 베어링 사이의 거리 인 개의 베어링으로 지지되고 있따 한 쪽
4.2 회전속도 으로 를 전달하는 전동축에서 같은 비틀림강도를 갖는 중실축과
풀이:
이다. 챕터 4장부터 10장까지 있습니다.
[解法(솔루션) ] 기계설계 3판(송지복, 배원병, 조용주, 황상문, 조윤호, 조진래, 박상후, 박성훈 공저, 교보문고)
b) 동하중 설계
중공축의 바깥지름 는 식(4.5a)에 의하면
[解法(솔루션) ] 기계설계 3판(송지복, 배원병, 조용주, 황상문, 조윤호, 조진래, 박상후, 박성훈 공저, 교보문고) 입니다..^^
이다. 각각의 기둥에 베어링을 붙이고 두 기둥 사이에 중실축을 설계하고자 한다. 축에 작용하는 외부하중은 등분포하중으로 축 자중의
4.3 굽힘모멘트 와 비틀림모멘트 을 동시에 받는
중공축의 중량비를 중공축의 안팎지름비 로 표현하라.
바깥지름을 구하라. 단, 축재료는 동일하며, 재료의 허용전단응력은
비틀림 강도 가 같으므로 중량비는
순서
기계설계 인데 설마 없을리가요!)
이고, 중공축의 경우 안팎지름비는 로 한다. 확인해보시고 결정하세요^^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안전율은 2이다
[솔루션] 기계설계 3판(송지복, 배원병, 조용주, 황상문, 조윤호, 조진래, 박상후, 박성훈 공저, 교보문고) 입니다. 수업을 따라가면서 이해 안가는 부분이 있으면 체크 하는 방식도 괜찮으며, 또 수업이 들은지 오래되어 다시 공부하고자 할때 도움이 되는 解法(솔루션) 입니다. 수업을 따라가면서 이해 안가는 부분이 있으면 체크 하는 방식도 괜찮으며, 또 수업이 들은지 오래되어 다시 공부하고자 할때 도움이 되는 솔루션입니다..^^
풀이:
4장 축과 키
중실축의 지름을 구하라. 단, 축의 항복강도는 ,피로한도는 ,
4.1 으로 를 전달하는 전동축에서, 중실축과 중공축의 경우에 대해 각각
비틀림 모멘트 T는
이고, 중실축과 중공축의 바깥지름은 각각 다음과 같다..^^ 그리고 시험기간에는 정말 없어서는 안될 자료이기도 하구요..^^
중실축의 지름 d는 식(4.4a)에 의하면
식(4.32)에서 축의 길이는
그리고 시험기간에는 정말 없어서는 안될 자료(資料)이기도 하구요..^^
최대 전단응력 theory 을 적용하면
그런데 이므로
풀이:
이므로 축지름은
비틀림 모멘트 T는
때의 위험속도가 이면, 이 중실축의 위험속도를 구하라.
![[솔루션]_기계설계_3판(송지복,_배-1221_01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301/%5B%EC%86%94%EB%A3%A8%EC%85%98%5D_%EA%B8%B0%EA%B3%84%EC%84%A4%EA%B3%84_3%ED%8C%90(%EC%86%A1%EC%A7%80%EB%B3%B5,_%EB%B0%B0-1221_01_.jpg)
![[솔루션]_기계설계_3판(송지복,_배-1221_02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301/%5B%EC%86%94%EB%A3%A8%EC%85%98%5D_%EA%B8%B0%EA%B3%84%EC%84%A4%EA%B3%84_3%ED%8C%90(%EC%86%A1%EC%A7%80%EB%B3%B5,_%EB%B0%B0-1221_02_.jpg)
![[솔루션]_기계설계_3판(송지복,_배-1221_03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301/%5B%EC%86%94%EB%A3%A8%EC%85%98%5D_%EA%B8%B0%EA%B3%84%EC%84%A4%EA%B3%84_3%ED%8C%90(%EC%86%A1%EC%A7%80%EB%B3%B5,_%EB%B0%B0-1221_03_.jpg)
![[솔루션]_기계설계_3판(송지복,_배-1221_04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301/%5B%EC%86%94%EB%A3%A8%EC%85%98%5D_%EA%B8%B0%EA%B3%84%EC%84%A4%EA%B3%84_3%ED%8C%90(%EC%86%A1%EC%A7%80%EB%B3%B5,_%EB%B0%B0-1221_04_.jpg)
![[솔루션]_기계설계_3판(송지복,_배-1221_05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301/%5B%EC%86%94%EB%A3%A8%EC%85%98%5D_%EA%B8%B0%EA%B3%84%EC%84%A4%EA%B3%84_3%ED%8C%90(%EC%86%A1%EC%A7%80%EB%B3%B5,_%EB%B0%B0-1221_05_.jpg)
중량은 로 같다. 풀이:
Download : [솔루션]_기계설계_3판(송지복,_배.zip( 82 )
배로 가정하고, 축재료는 연강이다. 굽힘변형을 고려할 때, 축지름을 결정하라.
4.4 두 기둥 사이의 거리가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