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부처분에 대한 행정소송법상 검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26 21:33
본문
Download : 거부처분1.hwp
3. 결점
현대 행정은 급부행정 영역에서의 수익적 처분과 관련되는 경우가 늘고 있는데도 우리 행정소송법 체계가 전통적인 침해행정위주로 규정되어 있으므로 수익적 행위의 거부에 마주향하여 는 권리구제가 미흡한 실정이므로 이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Ⅱ. 거부처분의 성립요건
1. 공권력 행사의 거부일 것
거부처분이 되기 위해서는 공권력 행사의 거부이어야 한다. 나아가 원고가 사실상 그 신청에 따른 행정행위를 요구할 수 있는 법규상 조리상 권리를 갖고 있느냐의 여부는 소송요건의 문제가 아니라 본안의 문제라고 한다.
2. 국민의 권리의무에 影響을 미치는 것일 것
항고소송은 주관적 쟁송이므로 국민의 권리의무에 影響을 미치는 것이어야 하고, 행정사무의 편의와 사실증명의 reference(자료)를 삼기 위한 장부에의 기재요구의 거부 등은 여기의 거부에 해당하지 않는다.
나)판례는 일관되게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는 거부처분이 되기 위해서는 법규상.조리상의 신청권이 존재해야 한다고 판시하고 있따
다)처분의 상대방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원고적격이 인정되는 것이고, 판…(투비컨티뉴드 )
거부처분에,대한,행정소송법상,검토,법학행정,레포트
거부처분에 대한 행정소송법상 검토




순서
Download : 거부처분1.hwp( 24 )
다. , 거부처분에 대한 행정소송법상 검토법학행정레포트 , 거부처분에 대한 행정소송법상 검토
레포트/법학행정
거부처분에 대한 행정소송법상 검토
Ⅰ. 들어가며
1. 의의
행정청이 국민으로부터 공권력의 행사를 신청 받고서도 그에 응하지 아니하고 형식적 요건의 불비로 그 신청을 각하하거나 이유가 없다고 하여 신청된 내용의 행위를 하지 않을 뜻을 표시하는 행위를 거부처분이라 한다.
2. 부작위와의 구별
거부는 신청에 대해 거절의 의사를 명백히 한다는 점에서 처음부터 아무런 의사표시를 하지 않는 부작위와 구별된다 간주거부의 경우에도 부작위가 아니라 거부처분으로 본다. 따라서 단순한 사경제작용에 행당하는 것은 이에 해당하지 않는다.
3. 법규상?조리상의 신청권이 존재할 것
1) 신청권의 존부가 처분요건인지의 여부
가)이에 대하여 일부 학설은 판례는 소송의 대상과 원고적격의 문제를 분리하지 않고 있다고 비판하면서 신청권의 존부는 행정청의 거부행위가 처분이 되기 위한 요건이 아니라고 한다.
설명
- preview를 참고 바랍니다.
거부처분1
거부처분1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