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애의 작품을 이해하는 하나의 키워드-현학성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0-20 09:40
본문
Download : 이정애의 작품을 이해하는 하나의 키워드-현학성에 대하여.hwp
이정애의 만화는 매우 독특하다.
2002-11440(0)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1. 들어가며
1. 1. 내가 이정애 만화를 택한 이유
1. 2. 이정애 만화에 대한 약간의 紹介
2. 작품 속에서 나타나는 이정애 만화의 현학성
2. 1. 열왕대전기
2. 1. 1. 작품의 간략한 紹介
2. 1. 2. 작품 안의 현학성
2. 3. 소델리니 교수의 사고 수첩
2. 2. 1. 작품의 간략한 紹介
2. 2. 2. 작품 안의 현학성
3. 맺으며
3. 1. 이정애 만화에서 현학성의 역할
3. 2. 아쉬운 점
4. 참고 문헌
1. 2. 이정애 만화에 대한 약간의 紹介
만화가 이정애는 1963년 생으로 이화여자대학교를 졸업했다. 이러한 면은 youth 보호법의 지나친 간섭을 받았으며, 결국 절필을 선언하게 되는 요인이 되기까지 하였다. 재어본 바에 의하면 9~10등신은 무리 없이 넘어간다. 만화가 황미나와 연락을 주고 받던 것이 인연이 되어 황미나의 문하생으로 만화계에 입문하게 되었고, 86년 데뷔하였다. 그림 중 인물은 그로테스크할 정도로 길쭉하고 말랐다. ‘루이스 씨에게 봄이 왔는가’는 세계 제 1차 대…(drop)
2002-11440(0) , 이정애의 작품을 이해하는 하나의 키워드-현학성에 대하여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이정애의 작품을 이해하는 하나의 키워드-현학성에 대하여
Download : 이정애의 작품을 이해하는 하나의 키워드-현학성에 대하여.hwp( 49 )
다.
또 하나의 특징으로는 동성애 코드가 매우 강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성애를 다룬 작품은 장편으로는 ‘루이스 씨에게 봄이 왔는가’ 정도가 있으며 몇몇 단편 정도를 찾아 볼 수 있다 아예 대부분의 등장 인물들은 남자이며, 여자 등장인물은 극소수이다. 이정애 만화 중 ‘소델리니 교수의 사고 수첩’은 2권부터는 그림을 알아 볼 수 없을 정도로 하얗게 지워진 부분을 쉽게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이정애 만화를 다른 만화와 구분짓는 점은 무엇보다도 현학 취미가 작품 곳곳에서 드러난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