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사 교과서 서술에 있어서 지방의 용례가 갖는 문제가되는점 과 제안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16 22:48
본문
Download : 국사 교과서 서술에 있어서 지방의 용례가 갖는 문제점과 제안 연구.hwp
‘지방사’는 지배층 중심의 부분적인 history(역사) 가 아니라, 어떤 공동체를 정치구조 뿐만 아니라 사회구조·인구변동·경제발전·文化가치의 change(변화) 등 다각적인 측면에서 포괄적으로 연구할 것을 요청하는 ‘전…(투비컨티뉴드 )
순서
,사범교육,레포트
레포트/사범교육
설명






Download : 국사 교과서 서술에 있어서 지방의 용례가 갖는 문제점과 제안 연구.hwp( 22 )
다.
·정진영 : ‘지방사’는 특정 지방 공동체의 전체사, 즉 지방 공동체의 기원·성장·해체를 연구하는 history(역사) 를 말한다.
국사 교과서 서술에 있어서 지방의 용례가 갖는 문제가되는점 과 제안 연구에 대한 글입니다.
국사 교과서 서술에 있어서 지방의 용례가 갖는 문제가되는점 과 제안 연구
국사 교과서 서술에 있어서 지방의 용례가 갖는 문제점과 제안 연구에 대한 글입니다.
·고석규 : ‘지방’은 ‘중앙’과 맞선 말로서, ‘중앙’에 종속된 말이다.
·이존희 : 지리적 한계를 가진 일정한 공간으로서, 흔히 ‘서울’에 대비되는 관념으로 사용한다.국사교과서서술에있어서지방의용례가갖는문제점과제안연구 , 국사 교과서 서술에 있어서 지방의 용례가 갖는 문제점과 제안 연구사범교육레포트 ,
국사교과서서술에있어서지방의용례가갖는문제가되는점 과제안연구
Ⅰ. 머리말
Ⅱ. ‘지방’의 용례와 그 analysis
Ⅲ. ‘지방’과 ‘지역’의 혼용에
따른 몇 가지 결점
Ⅳ. 맺음말 : ‘지방’의 서술
용법에 대한 제안
Ⅱ. `지방`의 용례와 그 analysis
1. `지방` 및 `지방사`의 관념
최근에 ‘지방사’·‘지history(역사) ’·‘향토사’ 등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그 연구의 동향이나 방법론 등을 살피려는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방사’·‘지history(역사) ’·‘향토사’ 등의 관념은 명확히 요점되지 못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혼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지방’은 서울에 속하지 않는 지역, 즉 ‘시골’이라는 뜻도 포함된다 ‘지방’이란 ‘향토’ 또는 ‘향촌’과는 다르며, ‘지방사’라는 용어 역시 ‘향토사’니 ‘향촌사’와는 같지 않다. 그러나 국내를 대상으로 할 때는 ‘지방사’로 통일해서 쓸 것을 제안한다. 향후 ‘지방’의 용례 검토와 analysis을 위해서, 이들에 관한 기왕의 논의를 간략하게 검토해 보기로 하자.
(1) `지방사` 중심
·이기백 : 그 고장 출신의 향토인이 향토애를 바탕으로 한 자기인식의 정감어린 표현을 ‘향토사’, 이에 대하여 ‘지방사’는 타지역 출신까지 참여하여 그 연구의 폭이 개방된 보다 객관화된 학문으로서의 지방history(역사) 이다. 반면에 ‘지역’은 그 자체 독립된 관념이다. 이에 ‘중앙’과 ‘지방’은 공간을 수직으로 나눈 관념이고, ‘지역’은 수평적인 공간 관념이다.
·노명식 : ‘향토사’라 한다면 연구자의 조상이 대대로 살아 온 자기 고향의 history(역사) 에 대한 애향적 태도가 깔려 있고, ‘지방사’라면 제 고향이건 아니건 애향적 감정이 없이 일정한 지역의 data(資料)를 조사한다는 탈주관적 뉘앙스가 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