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도서관의 활용 구축 plan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08 20:09
본문
Download : 디지털 도서관의 활용 구축 방안.hwp
정보자원의 서버의 도메인 변경이나 웹서버 내에서의 파일위치 변경으로 인하여 네트워크 상에서 컨텐츠의 위치가 변경되면 해당 컨텐츠를 지시하는 모든 URL링크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측에서는 자원의 위치 변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어렵기 때문에 네트워크상의 절단링크(broken links)가 발생하게 된다된다. 즉 URL의 위치 의존적이라는 본질적 한계는 정보자원의 위치에 대한 비영속적인 연결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절단링크에 대한 주기적인 유지 관리를 요구한다
.
[그림 ]
절단링크(broken links)
또한 자원에 접근하고자 …(생략(省略))
다. 전거된 바와 같이 URL을 사용하는 디지털 도서관에서 이용자에게 영속적으로 디지털 컨텐츠의 접근을 허용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결점을 가지고 있다아 그 결점과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레포트 , 디지털 도서관의 활용 구축 방안법학행정레포트 ,
레포트/법학행정
디지털 도서관의 활용 구축 plan






보고서
순서
설명
^^
Download : 디지털 도서관의 활용 구축 방안.hwp( 72 )
,법학행정,레포트
Ⅰ. 서 론
1. 연구의 목적 및 necessity need
2. 연구의 방법 및 구성 / 용어의 definition
Ⅱ. 본 론
1. 디지털도서관의 definition
2. 디지털 도서관 구축現況
2-1.원문제공에 사용되는 기술
3. 디지털 도서관의 결점
3-1.링크의 절단
3-2.저작권 문제
4. DOI기술의 개요
4-1.DOI기술의 발생배경
4-2.DOI기술의관념
4-3.DOI기술의원리
4-4.DOI기술의 응용분야
4-5.국내·외 추진現況
5. 디지털 도서관에 있어서의 DOI기술의 활용
5-1.영속적 링크의 제공
5-2.저작권 보호
5-3.MARC DATA의 대응
5-4.전거파일로서의 가능성
5-5.Reference Linking
Ⅲ. 결 론
1. DOI기술의 한계점
2. DOI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도서관 구축
참고한 문헌
3. 디지털 도서관의 결점
2항에서 설명(explanation)된바와 같이 디지털 도서관은 웹을 기반으로 한 URL을 통해 디지털 컨텐츠와 원문을 제공한다.
3-1. 링크의 절단
URL은 위치 의존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