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대 대선에서 나타난 유권자들의 정책 성향 분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9-25 22:15
본문
Download : 16대 대선에서 나타난 유권자들의 정책 성향 분석.hwp
<표 14>에서는 보수적 성향의 유권자보다 진보적 성향의 유권자가 정답을 맞추는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나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없다.
,인문사회,레포트
16대대선에서나타난유권자들의정책
16대 대선에서 나타난 유권자들의 정책 성향을 분석한 리포트 입니다. <표 15-1> 및 <표 15-2> 역시 이를 뒷받침해 준…(투비컨티뉴드 )
16대 대선에서 나타난 유권자들의 정책 성향을 분석한 리포트 입니다.16대대선에서나타난유권자들의정책 , 16대 대선에서 나타난 유권자들의 정책 성향 분석인문사회레포트 ,
16대 대선에서 나타난 유권자들의 정책 성향 분석
I. 머리말
II. 방법론적 논의
1. 보수, 중도, 진보의 구성 비율에 관하여
2. 자료(data) 수집 및 分析(분석) 방법
III. 유권자들의 정책 성향과 이들의 속성
1. 유권자들의 정책 성향 分析(분석)
2. 진보, 보수 중도 유권자들의 속성
한편, 자신의 판단이 아니라, 대통령 임기와 도지사(또는 시장)의 이름을 물어 측정(測定) 한 정치적 지식의 유무 정도와 정책 성향의 관계는 <표 14>, <표 15>에 나타난다.
순서
설명
Download : 16대 대선에서 나타난 유권자들의 정책 성향 분석.hwp( 26 )






레포트/인문사회
다. <표 14-1> 및 <표 14-2>는 정치적 성향에 따른 정치적 지식의 유무에 차이가 있는지를 보기 위한 집단별 평균(average) 分析(분석) 결과인데, 역시 통계적 유의성이 없다. <표 14>에 따르면, 대통령의 임기에 관한 질문에서 대통령의 임기를 제대로 파악하고 있는 유권자는 92.5%이며, 모르는 유권자는 7.5%이다. <표 1%>에 따르면, 자신이 거주하는 광역자치단체장의 이름을 제대로 알고 있는 사람은 61.1%이고 모르는 사람은 38.9%이다. 또한 <표 15> 역시 통계적으로 볼 때, 거주 지역의 도지사나 시장 이름에 관한 질문에 대한 정·오답 비율에 차이가 있다고 말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