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성산 분쟁의 과정과 문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9-25 21:37
본문
Download : 천성산 분쟁의 과정과 문제.hwp
지율스님은 천성산 관통노선의 부당함에 대한 문제제기이후, 2002년 1월 중순에서 2월 중순까지 부산-서울간 국도도보순례, 부산시청앞 및 과천청사앞에서의…(투비컨티뉴드 )
설명
천성산 분쟁의 과정과 문제






천성산 분쟁의 과정과 문제에 대해서 논하고 있다.
1, 2, 3차에 걸친 토론회를 통한 경부고속철도 천성산 관통반대의 타당성 확인과 합리적 대안을 모색하였고, ‘생명의 대안은 없다’라는 주제하에 전국생명연대의 공론를 모아서 경부고속철도 관통사업의 부당성을 재확인하고, 천성산을 지키기 위한 한 방법으로서 도롱뇽소송을 제기하였다.천성산분쟁의과정과문제 , 천성산 분쟁의 과정과 문제감상서평레포트 , 천성산 분쟁의 과정과 문제
Download : 천성산 분쟁의 과정과 문제.hwp( 57 )
천성산 분쟁의 과정과 문제에 대상으로하여 논하고 있다
순서
천성산분쟁의과정과문제
다.레포트/감상서평
천성산,분쟁의,과정과,문제,감상서평,레포트
2. 경부고속철도 천성산 관통문제의 경과 및 실태
2.1. 천성산 環境(환경)보존대책위의 활동과 도롱뇽소송에 이르기까지의 과정
경부고속철도 부산·경남권 건설사업으로 인한 천성산 관통문제는 천성산 내원사의 산감스님인 지율스님의 문제제기로부터 스타트되었으며, 천성산문제의 중심에는 지율스님이 있었다.
물론 이 과정에서 지율스님의 헌신적인 노력이 천성산 문제를 오늘날까지 이끌어 오게 된 직접적 요인이 되고 있음을 부인할 수가 없다. 이 공문을 접한 지율스님 등은 고속철도노선에 대한 조사과정에서 천성산 관통사실을 확인하고, 관련 전문가들에 대한 적극적인 자문과 조사 등을 통하여 경부고속철도 천성산 관통으로 인한 생태계의 파괴에 대하여 주목하는 여러 활동을 수행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천성산문제는 2000년에 제기된 양산시의 불법임도 건설사업의 부당성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드러나게 된 천성산의 자연가치에 대한 직접적 체험으로부터 태동되었다고 보는 것이 바람직할 것 같다.
그리하여 임도문제가 내원사의 지율스님과 지역의 環境(환경)단체와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활동한 결과, 양산시의 원상복구공문으로 일이 마무리되는 시점인 2001년 6월 고속철도건설공단으로부터의 내원사 소유토지에 대한 손실보상에 대한 협의를 요청하는 공문으로부터 스타트되었다. 그 과정에서 천성산의 산지늪과 여러 보호동식물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게 되었고, 천성산에 대한 생태적 가치와 중요성을 재확인함으로써 천성산은 사전예방적 관점에서 보존위주로 지켜가야 한다는 인식을 공유하게 되었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