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tracheostomy 환자간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23 20:36
본문
Download : [간호학]tracheostomy 환자간호.hwp
3. 기관내삽관을 대신하여 실시한다.
☞프라이버시 제공, 물품준비 (멸균 흡입 카테터 : 영아- 6-8F 아동: 8-10F 성인:12-16F)
☞의식 있을시- 반자위나 좌위 무의식- 얼굴을 마주보는 측위 (목을 과신전, 스니핑자세)
☞적절한 압력으로 흡인기 켠다.[간호학]tracheostomy,환자간호,의약보건,레포트
[간호학]tracheostomy 환자간호
Download : [간호학]tracheostomy 환자간호.hwp( 86 )
[간호학]tracheostomy 환자간호 , [간호학]tracheostomy 환자간호의약보건레포트 , [간호학]tracheostomy 환자간호
설명
[간호학]tracheostomy 환자간호
레포트/의약보건
![[간호학]tracheostomy%20환자간호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0%84%ED%98%B8%ED%95%99%5Dtracheostomy%20%ED%99%98%EC%9E%90%EA%B0%84%ED%98%B8_hwp_01.gif)
![[간호학]tracheostomy%20환자간호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0%84%ED%98%B8%ED%95%99%5Dtracheostomy%20%ED%99%98%EC%9E%90%EA%B0%84%ED%98%B8_hwp_02.gif)
![[간호학]tracheostomy%20환자간호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0%84%ED%98%B8%ED%95%99%5Dtracheostomy%20%ED%99%98%EC%9E%90%EA%B0%84%ED%98%B8_hwp_03.gif)
![[간호학]tracheostomy%20환자간호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0%84%ED%98%B8%ED%95%99%5Dtracheostomy%20%ED%99%98%EC%9E%90%EA%B0%84%ED%98%B8_hwp_04.gif)
![[간호학]tracheostomy%20환자간호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0%84%ED%98%B8%ED%95%99%5Dtracheostomy%20%ED%99%98%EC%9E%90%EA%B0%84%ED%98%B8_hwp_05.gif)
![[간호학]tracheostomy%20환자간호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0%84%ED%98%B8%ED%95%99%5Dtracheostomy%20%ED%99%98%EC%9E%90%EA%B0%84%ED%98%B8_hwp_06.gif)
순서
◎tracheostomy pt 간호
·기관절개술 (Tracheostomy)
기관을 절개하여 튜브를 삽입하는 것.
[목적]
1. 기관절개후 기관절개관을 삽입하는 것은 기도유지를 위함이다.
4. 점막을 자극시켜 기침반사를 촉진하기 위함이다.
[적용]
후두 및 기관, 후도종양, 기관내 이물, 기관지 점막의 손상, 상기도의 선천성 이상, 장기간 객담 배출 곤란시, 인공호흡이 필요한 경우, 양측성 신경마비.
[합병증]
주위 기관 및 혈관손상, 기흉, 무호흡, 심정지, 기관천공, 과도출혈, 무기폐 등.
·기관절개관 흡인 (Suctioninin the tracheostomy)
1. 기관절개관을 삽입한 대상자의 분비물을 제거하여 기도의 개방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4. 양압 인공호흡기 사용시 무의식 환자가 분비물에 질식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2. 기침을 할 수 없는 대상자의 기관내 분비물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압이 강하면 점막 손상)
1)벽장치 2) 이동식 장치
·성인: 110-150 mmHg ·성인:…(생략(省略))
다.
5. 검사물(객담)을 채취하기 위함이다.
(준비물품) 흡인관이 연결된 이동식 혹은 벽흡인장치, 무균적 흡인장치 멸균 흡입카테터
Thumbport, 멸균 일회용 용기, 멸균장갑, 멸균 생리식염수, 깨끗한 수건 또는 멸균방포, 보안경과 마스크(선택), 가운, 100% 산소가 연결된 소생기구.
[방법]
☞대상자에게 힘들다고 미리 말해준다.
2. 분비물로 인한 감염이나 무기폐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3. O2 와 CO2 의 가스교환을 증진하기 위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