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록 ]바이러스 행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9-23 17:34
본문
Download : [독후감]바이러스 행성.hwp
지금 인류는 벌목을 하고, 광물을 캐고, 새 농장을 일구려고 오지 깊숙이 들어가고 있따…(skip)
다.순서
독후감,바이러스,행성,감상서평,레포트
[독서록 ]바이러스 행성
레포트/감상서평
Download : [독후감]바이러스 행성.hwp( 85 )
[독서록 ]바이러스 행성
설명
![[독후감]바이러스%20행성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F%85%ED%9B%84%EA%B0%90%5D%EB%B0%94%EC%9D%B4%EB%9F%AC%EC%8A%A4%20%ED%96%89%EC%84%B1_hwp_01.gif)
![[독후감]바이러스%20행성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F%85%ED%9B%84%EA%B0%90%5D%EB%B0%94%EC%9D%B4%EB%9F%AC%EC%8A%A4%20%ED%96%89%EC%84%B1_hwp_02.gif)
[독후감]바이러스 행성 , [독후감]바이러스 행성감상서평레포트 , 독후감 바이러스 행성
바이러스 행성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공포가 확산하면서 바이러스가 ‘보이지 않는 암살자’처럼 악명을 떨치고 있따 실제로 에이즈(후천성면역결핍증)를 유발하는 HIV바이러스는 1980년대 이후 6000만 명을 감염시켰고 그 중 절반이 사망했다. 항생제를 남용하는 건 세균의 내성을 길러 오히려 위험만 키운다. 바이러스 한 마리가 세포 안으로 들어가면 하루만에 1000마리로 불어나기도 한다. 과학자들이 이런 기본적인 사실을 파악한 건 1950년대 무렵이다. 돌연변이는 적자생존이란 자연선택이 작용해 생존력이 뛰어나고 그만큼 치료백신을 만들기 힘들다. 자신의 유전자와 단백질을 숙주 세포에 주입해 그 안에서 새로운 바이러스 사본(복제)을 만들어낸다. 하지만 감기치료법은 아직 없다. 항생제는 세균에만 듣고 바이러스엔 소용없다. 숙주세포가 늘면 바이러스도 늘어난다. 바이러스의 특징은 대부분 유전자가 10개 안팎에 불과하기 때문에 자신의 유전자 복제에 서툴러 돌연변이가 많이 일어난다는 점이다. 이렇게 동물 바이러스가 인간에게 갈수록 쉽게 옮겨오는 까닭은 오지 개발과 세계화가 주요 요인이라고 볼 수 있따 세계 오지의 동물들은 수백만 년 동안 우리에게 낯선 바이러스를 품어 왔는데 인류는 그들과 접촉이 거의 없었다. 전설 속의 ‘뿔난 토끼’도 바이러스의 작품이다. 이 바이러스용액을 건강한 토끼의 머리에 문지르기만 해도 뿔이 자라난다. 인유두종바이러스(HPV)는 숙주세포를 죽이는 대신 숙주세포가 더 많이 복제되도록 한다. 감기와 천식에 대한 기록은 35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1957년이 되어서야 그 요인이 리노바이러스란 걸 알아냈다. 이 바이러스는 인체 사마귀나 젖꼭지 모양의 돌기도 유발한다.
2013년에 출간됐다가 메르스 덕에 다시 주목받고 있는 ‘바이러스 행성’의 저자 칼 짐머에 따르면 바이러스는 유전자 명령문(염기서열 코드) 몇 개를 감싸고 있는 단백질 껍데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