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가 - 애정가사(상사별곡을 중심으로)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0-21 23:51본문
Download : 조선시가 - 애정가사(상사별곡을 중심으로)에 대해서.hwp
레포트/감상서평
조선시가 - 애정가사(상사별곡을 중심으로)에 대하여
1. 서 론
2. 본 론
① 내용연구
② 작품의 이해와 감상
③ 화자와 대상간의 관계
3. 결 론
가는 길 자취없어 오는 길 무듸거다(더디리라)
(가는 꿈이 자취되면 나에게 오는 길이 무디리라)
한번 죽어 돌아가면 다시 보기 어려우니
옛 정이 있거든 다시 보게 하소서.
② 작품의 이해와 감상
12가사 중의 하나로 18세기의 만언사와 19세기의 한양가에 이 작품의 title(제목)이 인용되고 있어, 18세기에는 가창(歌唱)으로 존재했으며, 19세기에도 대표적인 잡가로 광범위하게 전파되었던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아 청구영언 등의 가집과 ‘증보신구잡가`를 비롯한 각종 잡가집, 그리고 소설 ’부용의 상사곡` 등에 전한다. 각 이본들 사이에는 표현상에 다소 차이를 보이기는 하나 크게 다른 점은 없다.
%EC%97%90%20%EB%8C%80%ED%95%B4%EC%84%9C_hwp_01.gif)
%EC%97%90%20%EB%8C%80%ED%95%B4%EC%84%9C_hwp_02.gif)
%EC%97%90%20%EB%8C%80%ED%95%B4%EC%84%9C_hwp_03.gif)
%EC%97%90%20%EB%8C%80%ED%95%B4%EC%84%9C_hwp_04.gif)
%EC%97%90%20%EB%8C%80%ED%95%B4%EC%84%9C_hwp_05.gif)
순서
,감상서평,레포트
Download : 조선시가 - 애정가사(상사별곡을 중심으로)에 대해서.hwp( 82 )
설명
가사는 조선후기로 접어들면서 내방에서 여성들이 작자로 참여하면서 그들의 한이나 정서 등을 표현하게 되는데 막혔던 공간 안의 여성들의 삶의 모습을 가사를 통해 짐작할 수 있다.조선시가-애정가사(상사별곡을중심으로)에대해서 , 조선시가 - 애정가사(상사별곡을 중심으로)에 대해서감상서평레포트 ,
다. 내용은 인간의 이별 만사 중에 독숙공방(獨宿空房)이 더욱 섧다는 것으로…(투비컨티뉴드 )
조선시가-애정가사(상사별곡을중심으로)에대하여
가사는 조선후기로 접어들면서 내방에서 여성들이 작자로 참여하면서 그들의 한이나 정서 등을 표현하게 되는데 막혔던 공간 안의 여성들의 삶의 모습을 가사를 통해 짐작할 수 있다 특히 순수 여탄이나 애정에 관한 가사들도 나오기 시작하는데, 본고에서는 애정가사의 대표인 상사별곡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하겠다. 특히 순수 여탄이나 애정에 관한 가사들도 나오기 시작하는데, 본고에서는 애정가사의 대표인 상사별곡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하겠다. 그 중 ‘남훈태평가`에 전하는 이본을 보면, 4음보 1구로 계산하여 전체 49구이며, 율격은 4음보 4보격 무제한 연속체로써 가사의 율격을 따르고 있다아 그러나 가끔 음보의 추가와 결손 현상을 상당히 보여 가창 가사의 특징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