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심리학의 형성사 (I): Chomsky 이전 언어학과의 상호작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23 01:56
본문
Download : 언어심리학의 형성사 (I) Chomsky 이전 언어학과의 상호작용.hwp
그러나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의 언어 연구에 대한 전체적 추세의 중심은 비교언어학적 연구와 경험주의가 결합된 흐름이었다(그림 1 참조).
3. 19세기의 언어 연구
3.1. 경험론 및 합리론 전통과 19세기에의 그 effect
언어 현상에 대한 이러한 경험적 접근과 이에 반하는 합리적 전통의 대립이 19세기와 20세기의 언어 연구의 틀을 결정하였고, 두 전통의 대립은 17, 18세기의 철학, 과학 일반, 심리학 등에서 드러났었다. , 언어심리학의 형성사 (I): Chomsky 이전 언어학과의 상호작용인문사회레포트 ,
%20Chomsky%20%EC%9D%B4%EC%A0%84%20%EC%96%B8%EC%96%B4%ED%95%99%EA%B3%BC%EC%9D%98%20%EC%83%81%ED%98%B8%EC%9E%91%EC%9A%A9_hwp_01.gif)
%20Chomsky%20%EC%9D%B4%EC%A0%84%20%EC%96%B8%EC%96%B4%ED%95%99%EA%B3%BC%EC%9D%98%20%EC%83%81%ED%98%B8%EC%9E%91%EC%9A%A9_hwp_02.gif)
%20Chomsky%20%EC%9D%B4%EC%A0%84%20%EC%96%B8%EC%96%B4%ED%95%99%EA%B3%BC%EC%9D%98%20%EC%83%81%ED%98%B8%EC%9E%91%EC%9A%A9_hwp_03.gif)
%20Chomsky%20%EC%9D%B4%EC%A0%84%20%EC%96%B8%EC%96%B4%ED%95%99%EA%B3%BC%EC%9D%98%20%EC%83%81%ED%98%B8%EC%9E%91%EC%9A%A9_hwp_04.gif)
%20Chomsky%20%EC%9D%B4%EC%A0%84%20%EC%96%B8%EC%96%B4%ED%95%99%EA%B3%BC%EC%9D%98%20%EC%83%81%ED%98%B8%EC%9E%91%EC%9A%A9_hwp_05.gif)
%20Chomsky%20%EC%9D%B4%EC%A0%84%20%EC%96%B8%EC%96%B4%ED%95%99%EA%B3%BC%EC%9D%98%20%EC%83%81%ED%98%B8%EC%9E%91%EC%9A%A9_hwp_06.gif)
Download : 언어심리학의 형성사 (I) Chomsky 이전 언어학과의 상호작용.hwp( 22 )
레포트/인문사회
다.두 학문의 뚜렷한 접근과 밀월의 시기가 W. Wundt의 언어심리학적 관점과 언어학의 관점이 접근되었을 때에 두 번(19세기말과 20세기 중반에) 이루어졌다는(McCauley, 1987) 점에서, Wundt의 언어심리학 틀을 중심으로 전개하겠다.
17세기의 Descartes에서 18세기의 Leibniz, Wolff 및 Kant로 이어지는 합리론적 철학과 심리학의 전통에서는 감각 경험에서 마음 또는 知가 연합법칙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知의 본유적이고 선험적인 property(특성)과, 마음이 심적인 구조를 경험에 부여하는 것임이 강조되었다.
1. 머리말
2. 언어에 대한 초기 연구: 고대에서 18세기까지의 언어학
3. 19세기의 언어 연구
3.1. 경험론 및 합리론 전통과 19세기에의 그 effect
3.2. Herbart와 실증주의 심리학의 부상
3.3. 19세기초의 경험적 전통과 小壯문법학파
3.4. 합리론 전통과 19세기초의 Humboldt의 언어학
4. Wundt의 구조주의 심리학과 언어심리학
4.1. Wundt의 일반심리학 theory
4.2. Wundt의 언어심리학 theory
4.3. Wundt의 언어심리학에 대한 언어학의 反應(반응)
5. 20세기초의 유럽 중심의 언어심리학
5.1. Wundt 시대의 연상 연구
5.2. Wundt와 Buhler
5.3. 언어 습득 연구와 독서 연구
6. 20세기 전반의 미국 중심의 언어 연구
6.1. 기능주의와 행동주의적 접근의 발전
6.2. 구조주의와 행동주의 언어학
6.3. 언어심리학의 잠재기: 1930년대에서 Chomsky 이전까지의 미국 언어심리학과 언어학
7. 20세기 중반 심리학의 언어 연구
7.1. Skinner의 언어행동 theory
7.2. 심리학 내에서의 대안적 관점의 대두
8. 맺는말
독일 철학자 J. G. Herder도 18세기 후반에 이와 같은 주장을 하였다. 혼돈되고 무의식적인 小지각(petites perception)에서 외적인 대상을 내적으로 표상…(투비컨티뉴드 )
언어심리학의 형성사 (I): Chomsky 이전 언어학과의 상호작용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설명
두 학문의 뚜렷한 접근과 밀월의 시기가 W. Wundt의 언어심리학적 관점과 언어학의 관점이 접근되었을 때에 두 번(19세기말과 20세기 중반에) 이루어졌다는(McCauley, 1987) 점에서, Wundt의 언어심리학 틀을 중심으로 전개하겠다. 이러한 주장들은 18세기와 19세기의 철학자들로 하여금 언어와 인식, 이성, 마음, 사회 등과의 관계에 대한 새삼스런 주의를 기울이게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