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음의 양상과 기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04 01:38
본문
Download : 여음의 양상과 기능.hwp
‘위 증즐가 太平聖代’가 뜻을 수반하긴 하지만, 시가 전체의 내용과는 무관하다.
‘위
속요 작품들 가운데 ‘위’라는 어구가 쓰인 작품은 <서경별곡>, <사모곡>, <가시리> 등이 있다아 <서경별곡>의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는, 절이 끝나는 부분에 위치한다. ‘아즐가’ 역시 악기의 구음일 수도 있겠지만, 장단을 맞추어 주는 조음소 정도로 파악할 수 있다아 ‘위’ 부분은 한 절의 끝남을 알려준다고 하겠다.
여기서는 속요에서 사용된 여음을 형태 별로 나누어 보고, 그 기능과 특징을 살펴보기로 한다. 속요에 나타난 여음의 양상과 기능
여음의 양상과 기능 여음의 양상과 기능 여음의 양상과 기능 여음의 양상과 기능 여음의 양상과 기능 여음의 양상과 기능
.
1. ‘위’ 계열
’이라고 할 수 있다아 하지만 지금까지 이루어진 연구에도 불구하고, 여음과 후렴의 定義(정이) 정립이나 의미․기능 조명이 제대로 되어있지 않다.
여음의 양상과 기능
<사모곡>의 ‘위 덩더둥셩’은 <서경별곡>의 여음과는 조금 다르다. 연이 끝날 때 쓰이는 단락의 요약제시 및 연의 계속됨 표시의 기능을 수행한다. . <서경별곡>은 동일한 내용이 여음부분으로 인해서 끊어지고 있는데, 이는 여음이 특별한 의미를 가졌다기보다는 시가의 형식적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는 것이다. 종결4구체 민요의 형태에서 종결의 의미로 후대에 첨가되었을 가능성도 있다아 뒤에 나오는 ‘아소님하’ 역시 중요내용의 반복과 종결의 의미로 쓰인 것이다. 지금까지의 연구성과를 종합해 보면 여음은 ‘흥과 멋을 돋우거나 운율을 고루어 음악적 효과(效果)를 거두기 위해 사용된 무의미한 사설 내지 감탄적 사설 조해숙, 「고려가요를 중심으로 본 여음․후렴의 성격과 그 후대적 변모 양상」, 『전농어문연구』제10집, 1998년
다. 속요연구에서 여음에 대한 중요성과 의미를 밝히려는 작업은 여러 order (차례) 시도되어 왔다. 곡의 전반적인 분위기와 상반된다는 말이 있긴 하지만, 분위기를 따지기보다는 여음구가 어떤 기능을 하는지가 중요하다. 구음으로 보지 않는다고 해서 여음부분이 특별한 의미를 가진 것이 아닐것이다. ‘위~’ 여음구 다음에 중요 한 의미를 지니는 구가 나오는 것으로 볼 때, 곡을 맺는 역할을 한다.
본 론





여음의 양상과 기능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여음의 양상과 기능
여음의 양상과 기능
여음은 속요를 특징짓는 중요한 특징의 하나이다. ‘위~’ 여음구가 중요한 내용을 암시한다는 점은 경기체가인 <한림별곡>과 기능이 비슷하다. 때문에 뜻이 있다고 한들, 후대의 삽입으로 본다면 의미 해석에 고려될 필요는 없다. 때문에 속요의 해석에 있어서 학자들 간에 이견이 분분하고, 때로는 작품을 작품 자체로 보지 못하고, 지나치게 확대 해석하려는 경향도 없지 않았다. <사모곡>은 자체가 단형의 노래이기 때문에 여음구가 절을 끝맺는 역할을 하지는 않는다. 다만 내용이 이어지는 중간에 삽입된 여음구는 곡의 흐름에 약간의 어색함을 더해준다. 이러한 송도적 성격의 여음은 계속 삽입되는 과정에서 무의미화 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위’ 이하의 부분 ‘두어렁셩~’은 악기의 구음으로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다.
순서
여음의 양상과 기능
Download : 여음의 양상과 기능.hwp( 20 )
.
여음의 양상과 기능
여음의 양상과 기능
.
여음의 양상과 기능
여음의 양상과 기능
설명
<가시리>의 ‘위’ 우분은 대체로 <서경별곡>의 그것과 비슷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