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이잡가 연구 - 잡가의 concept(개념) 12잡가의 형성과정 문학적 속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5-26 06:34
본문
Download : 십이잡가 연구 - 잡가의 개념 12잡.hwp
십이잡가 연구 - 잡가의 개념 12잡가의 형성과정 문학적 특성 십이잡가 연구 - 잡가의 개념 12잡가의 형성과정 문학적 특성
.
다. 따라서 잡가는 그 내용과 형식에 있어서 상당히 다양한 양상을 보여 일찍이 국문학계에서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
설명
십이잡가 연구 - 잡가의 concept(개념) 12잡가의 형성과정 문학적 속성
Ⅱ. 잡가의 槪念
십이잡가 연구 - 잡가의 개념 12잡가의 형성과정 문학적 특성
.
십이잡가 연구 - 잡가의 槪念 12잡가의 형성과정 문학적 特性(특성)
Download : 십이잡가 연구 - 잡가의 개념 12잡.hwp( 84 )





순서
십이잡가 연구 - 잡가의 concept(개념) 12잡가의 형성과정 문학적 속성
잡가의 槪念과
잡가는 조선 후기 직업적인 가객들에 의해 불려지고, 널리 유행했던 노래를 이른다.
십이잡가 연구 - 잡가의 concept(개념) 12잡가의 형성과정 문학적 속성
본고는 이러한 잡가 가운데 서울을 중심으로 한 경기일원에서 널리 유포되어 전해 오는 12잡가를 대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최동안,「잡가연구」, 가톨릭대학교 박사논문, 2003, p.19.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우선,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잡가의 槪念을 정리(整理) 한 뒤, 그 형성과정을 살펴보고 12잡가와 관련된 다양한 논의들 가운데 내용적 측면이라 할 수 있는 문학적 특징을 紹介할 것이다. 문학사적 측면에서 보면 선행 전통 갈래인 가사, 시조, 민요, 판소리, 한시 등이 그대로 계승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변형·수용된 특수한 갈래로 발전한 것이 바로 잡가이다. 그리고 맺음말에서는 잡가의 문학사적 의의도 간략하게 논해 보고자 한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논의에도 불구하고 잡가는 아직 槪念과 범주조차 불확실할뿐더러 발생 시기나 발생 동인에 대한 논의도 합일점을 찾지 못하고 있으며, 갈래에 대한 문제 역시 의견의 일치를 보지 못한 채 아직 논의의 대상이 되고 있따 이러한 잡가에 대한 기저 논의의 미비로 잡가가 지닌 문학적 의의에 대한 이해 역시 충분치 못한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