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폐기물 폐콘크리트 재활용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9-22 20:39
본문
Download : 건설폐기물 폐콘크리트 재활용.hwp
미국의 건설 폐기물 재활용
4. 폐콘크리트의 발생原因과 발생량 예측
가. 폐콘크리트 발생原因
나. 발생량 예측
5. 폐콘크리트 재활용
가. 재생골재
나. 벽돌
다.
● 설계의 연구 등에 의한 철저한 발생원 규제
● 공사간의 정보 교환 등에 의한 최대한의 재활용 추진
● 재활용이 곤란한 폐기물의 적정 처리 추진
● 적극적인 기술개발 추진
이 계획은 2000년까지 건설 폐기물을 예측 발생량의 약 10% 감소시키고, 또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덩이, 콘크리트 덩이의 재활용 율을 1990년의 50%에서 90%로, 건설 폐기물 전체의 재활용 율을…(To be continued )
건설폐기물의 개념과 종류 및 국내 건설폐기물의 현황과 외국의 재활용사례를 살펴보고, 폐콘크리트의 재활용 방안으로서, 재생골제, 벽돌, 벽돌용 재생 모래에 대해서 정리했습니다.
,공학기술,레포트






Download : 건설폐기물 폐콘크리트 재활용.hwp( 39 )
다. 이중 Kasai 는 日本(일본)에서 철거된 콘크리트의 재활용에 관한 현재 實態와 재활용 지침안을 제시하였고, 다른 연구자들 Kikuchi 등(1994), Yagishita 등(1994), Sano 등 (1994), Yanagi 등(1994)이 콘크리트의 재활용에 관한 논문을 발표하여 日本(일본)의 높은 재활용 관심도를 보여주었다. , 건설폐기물 폐콘크리트 재활용공학기술레포트 ,
순서
레포트/공학기술
건설폐기물 폐콘크리트 재활용
건설폐기물의 definition 과 종류 및 국내 건설폐기물의 현황과 외국의 재활용사례를 살펴보고, 폐콘크리트의 재활용 방법으로서, 재생골제, 벽돌, 벽돌용 재생 모래에 상대하여 요약했습니다. 이 이외에도 현재 日本(일본)에서는 많은 연구와 실용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1994년 4월에는 2000년을 목표(goal)로 한 `건설 부산물 대책 행동 계획(재활용계획 21)`을 발표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설명
1. 국내 건설폐기물 상황
2. 건설폐기물의 定義(정의) 및 종류
3. 재활용 事例 (日本(일본), 유럽 미국)
가. 日本(일본)의 건설폐기물 재활용
나. 유럽의 건설 폐기물 재활용
다. 여기에는 건설폐기물에 관한 재활용 내용을 상세히 명시하고 있으며, 日本(일본)에서 추진하는 건설폐기물 대책의 3가지의 해결해야할문제로써 부산물의 발생억제, 리싸이클 추진, 부산물의 적정 관리라는 측면을 중점적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 리싸이클의 추진에 더 많은 비중을 두고 있다
日本(일본)은 덴마크에서 열린 제 3차 RILEM 심포지엄에도 여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신기술(벽돌용 재생모래)
6. 結論
日本(일본)은 環境(환경)문제에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1985년 7월에 `시가지토목공사 공중재해방지 대책요강`을 전면적으로 개정하여 신고 항목을 설치하고 잔토와 폐기물에 관한 처리 계획, 위탁 처리, 운반 경로, 운행 관리에 필요한 조치를 강구하였다.
한편 잔토 이외의 건설폐기물 대책은 1990년 2월 종합적인 건설폐기물 대책 연구회를 설치하여 環境(환경)청, 건설청, 통산성 등 8개 부처의 공동법안으로 1991년 재활용법 및 건설부산물 적정 처리 추진 요강 등을 제정하여 건설부산물 재활용을 추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