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어학] 가사문학개관 - 조선후기 가사 - 고전시가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9-27 08:01
본문
Download : [인문어학] 가사문학개관 - 조선후기 가사 - 고전시가론.hwp
시조의 종장과 같게 끝난다.
- 변형: 1행이 내 . 외 2구, 4.4 조로서 4음보격이며, 4음보격 시행이 끝까지 이어짐. 후기의 평민가사 및 내방가사가 이에 속한다.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어학,가사문학개관,조선후기,가사,고전시가론,인문사회,레포트
![[인문어학]%20가사문학개관%20-%20조선후기%20가사%20-%20고전시가론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EC%96%B4%ED%95%99%5D%20%EA%B0%80%EC%82%AC%EB%AC%B8%ED%95%99%EA%B0%9C%EA%B4%80%20-%20%EC%A1%B0%EC%84%A0%ED%9B%84%EA%B8%B0%20%EA%B0%80%EC%82%AC%20-%20%EA%B3%A0%EC%A0%84%EC%8B%9C%EA%B0%80%EB%A1%A0_hwp_01.gif)
![[인문어학]%20가사문학개관%20-%20조선후기%20가사%20-%20고전시가론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EC%96%B4%ED%95%99%5D%20%EA%B0%80%EC%82%AC%EB%AC%B8%ED%95%99%EA%B0%9C%EA%B4%80%20-%20%EC%A1%B0%EC%84%A0%ED%9B%84%EA%B8%B0%20%EA%B0%80%EC%82%AC%20-%20%EA%B3%A0%EC%A0%84%EC%8B%9C%EA%B0%80%EB%A1%A0_hwp_02.gif)
![[인문어학]%20가사문학개관%20-%20조선후기%20가사%20-%20고전시가론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EC%96%B4%ED%95%99%5D%20%EA%B0%80%EC%82%AC%EB%AC%B8%ED%95%99%EA%B0%9C%EA%B4%80%20-%20%EC%A1%B0%EC%84%A0%ED%9B%84%EA%B8%B0%20%EA%B0%80%EC%82%AC%20-%20%EA%B3%A0%EC%A0%84%EC%8B%9C%EA%B0%80%EB%A1%A0_hwp_03.gif)
![[인문어학]%20가사문학개관%20-%20조선후기%20가사%20-%20고전시가론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EC%96%B4%ED%95%99%5D%20%EA%B0%80%EC%82%AC%EB%AC%B8%ED%95%99%EA%B0%9C%EA%B4%80%20-%20%EC%A1%B0%EC%84%A0%ED%9B%84%EA%B8%B0%20%EA%B0%80%EC%82%AC%20-%20%EA%B3%A0%EC%A0%84%EC%8B%9C%EA%B0%80%EB%A1%A0_hwp_04.gif)
![[인문어학]%20가사문학개관%20-%20조선후기%20가사%20-%20고전시가론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EC%96%B4%ED%95%99%5D%20%EA%B0%80%EC%82%AC%EB%AC%B8%ED%95%99%EA%B0%9C%EA%B4%80%20-%20%EC%A1%B0%EC%84%A0%ED%9B%84%EA%B8%B0%20%EA%B0%80%EC%82%AC%20-%20%EA%B3%A0%EC%A0%84%EC%8B%9C%EA%B0%80%EB%A1%A0_hwp_05.gif)
![[인문어학]%20가사문학개관%20-%20조선후기%20가사%20-%20고전시가론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EC%96%B4%ED%95%99%5D%20%EA%B0%80%EC%82%AC%EB%AC%B8%ED%95%99%EA%B0%9C%EA%B4%80%20-%20%EC%A1%B0%EC%84%A0%ED%9B%84%EA%B8%B0%20%EA%B0%80%EC%82%AC%20-%20%EA%B3%A0%EC%A0%84%EC%8B%9C%EA%B0%80%EB%A1%A0_hwp_06.gif)
[인문어학] 가사문학개관 - 조선후기 가사 - 고전시가론
순서
Download : [인문어학] 가사문학개관 - 조선후기 가사 - 고전시가론.hwp( 87 )
[인문어학] 가사문학개관 - 조선후기 가사 - 고전시가론
[인문어학] 가사문학개관 - 조선후기 가사 - 고전시가론 , [인문어학] 가사문학개관 - 조선후기 가사 - 고전시가론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어학 가사문학개관 조선후기 가사 고전시가론
가 사 문 학 개 관
1. 기원
① 고려 속요 또는 경기체가.
②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 등의 시형.
③ 4 음보 연속체의 교술 민요가 기록 문학으로 전환되면서 이루어짐.
2. 형식 : 3.4(4.4) 조의 연속체(4음보), 마지막 구절은 시조의 종장과 같음.
① 3.4 또는 4.4조의 4음보 연속체
② 정격가사의 경우 마지막 행은 시조의 종장과 일치(3.5.4.3의 음수율)
③ 운문과 산문의 중간 형태. 흔히 운문의 형식에 산문의 내용을 실었다고 말함.
④정형 (또는 定格)과 변형(또는 變格)이 있다아
- 정형: 1행이 內 . 外 2구, 3.4 조로서 4음보격이며 행수의 제한이 없다. 전기 가사는 거의 정형에 속한다.
3. 가사의 3가지 특징
① 서정성(抒情性) :
가 사 문 학 개 관
1. 기원
① 고려 속요 또는 경기체가.
②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 등의 시형.
③ 4 음보 연속체의 교술 민요가 기록 문학으로 전환되면서 이루어짐.
2. 형식 : 3.4(4.4) 조의 연속체(4음보), 마지막 구절은 시조의 종장과 같음.
① 3.4 또는 4.4조의 4음보 연속체
② 정격가사의 경우 마지막 행은 시조의 종장과 일치(3.5.4.3의 음수율)
③ 운문과 산문의 중간 형태. 흔히 운문의 형식에 산문의 내용을 실었다고 말함.
④정형 (또는 定格)과 변형(또는 變格)이 있다아
- 정형: 1행이 內 . 外 2구, 3.4 조로서 4음보격이며 행수의 제한이 …(투비컨티뉴드 )
다.